"북, 작년 8월∼올해 1월 사이 러시아에 포탄 최소 160만발 전달 추정"

입력
2024.06.23 23:03
구독

미 싱크탱크, 러 교역 자료 입수해 분석
"나진항서 러 극동 항구 거쳐 전선으로"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9일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평양=로이터 연합뉴스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9일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평양=로이터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7만4,000톤 이상의 폭발물을 보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비영리 싱크탱크인 선진국방연구센터(C4ADS)가 입수·분석한 러시아 내부 교역 자료를 인용, 이 같은 폭발물이 러시아 극동의 항구에서 우크라이나 인근 서부 국경 등을 따라 총 16개 지역에 보급됐다고 보도했다. 폭발물 7만4,000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사용하는 유형의 포탄 약 160만 발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WP는 전했다.

WP는 C4ADS와 함께 위성사진 및 해상 교통 데이터를 분석했는데, 러시아 선박이 작년 8월~올해 1월 북한과 러시아를 오고 간 증거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역시 비슷한 시기에 나진항과 러시아 항구 두 곳 사이에 총 27건의 수송이 이뤄졌음을 파악, 이를 토대로 수천 개의 컨테이너가 운송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WP에 따르면 러시아군과 연관된 러시아 기업 소유의 선박 4척이 북한 나진항에 정박한 후 러시아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에 입항했다. 이후 대부분의 폭발물은 러시아에 도착한 지 일주일 안에 여러 곳으로 운송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공식 자료에서는 전달 품목이 '폭발물'로 기록돼 있지만, 상당수가 포병이나 장갑차용 탄약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WP는 전했다. 운송 장소 16곳 가운데 12곳이 탄약 저장 시설 인근이라는 점에서다. 미국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다라 매시콧 선임연구원은 "이는 포탄에서 로켓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탄약이 러시아에 전달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위용성 기자

관련 이슈태그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