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국방 실현시킬 첨단 국산전투기 개발, 꿈은 현실로

입력
2024.06.25 09:22

2026년 실전배치를 목표로 시범비행하는 국산전투기 ‘KF-21’.

2026년 실전배치를 목표로 시범비행하는 국산전투기 ‘KF-21’.

KAI, 숱한 난관 뚫고 KF-21 개발
시험비행 순항… 2026년 실전배치
생산·기술 파급효과 수십조원 달해
자주국방 실현에도 큰 획 그어

다가오는 7월 3일이 공군이 선포한 ‘조종사의 날’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1950년 6·25전쟁 발발 당시 우리 공군에게는 단 한 대의 전투기도 없었다. 연락기와 훈련기 몇 대만 보유하고 있을 뿐이었다. 이에 우리나라 공군 조종사 10명은 일본에 있던 F-51 무스탕 전폭기 10대를 미국으로부터 인수받아 불과 4일간 초단기 훈련 비행만 받은 후 7월 3일 출격을 단행했다. 첫 출격임에도 북한군의 탱크와 차량 등을 다수 파괴하고 연료와 탄약저장소를 폭파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이를 기억하기 위해 조종사의 날이 지정된 것이다.

당시 국산 전투기는 말 그대로 꿈 같은 이야기였다. 그리고 74년이 지난 2024년 현재, 그 꿈은 현실이 되고 있다.

지난 2015년 KAI는 방위사업청과 계약을 맺고 한국형 전투기 KF-21 개발에 돌입했다. 2021년 4월 시제 1호기가 출고되었고 2022년 7월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 이후 시제 6호기가 2023년 6월 비행에 성공하면서 시제기 6대 모두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

KF-21 개발은 순항 중이다. 올해 3월 공중급유 비행에 성공해 원거리 작전능력까지 확보했다. 5월에는 최고속도 돌파와 공대공 미티어 유도발사에 성공했다.

KF-21은 퇴역을 앞둔 F-4, F-5를 순차적으로 대체하며 영공수호 임무를 이어받는다. 2026년 인도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KF-21은 남아 있는 시험평가를 완수하여 완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KF-21 개발 성공은 전 세계 몇 안 되는 첨단 전투기 개발국이라는 자부심 이상의 의미가 있다. KF-21 개발에는 국내 협력업체가 약 600여 개 참여해 국내 항공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 무기체계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KF-21 개발 및 양산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약 24조 원, 기술파급효과는 약 49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외에도 국산전투기 운용으로 후속 군수지원이 더욱 원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KF-21 제조사인 KAI와 실제 사용자인 공군이 수시로 소통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후속 군수지원이 가능하며 이는 높은 가동률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K-방산의 선두주자로 국내외서 큰 주목을 받는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의 시작은 순탄치 않았다.

불과 90년대까지만 해도 국산 항공기 개발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국내 기술이 부족했다. KAI는 후발주자라는 어려움에도 정부의 자주국방 의지와 엔지니어들의 노력으로 국산 전투기 개발에 성공해 국산 항공기 수출 시대를 열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최첨단 KF-21이 대한민국의 영공을 수호하고 전 세계 하늘길을 누빌 날도 머지않았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