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프리덤 에지' 앞둔 美 항모 승선… "한미일 협력, 강력 억제 수단"

입력
2024.06.25 18:00
1면
구독

3국 첫 훈련차 부산 정박한 루스벨트함 방문
박정희·김영삼 이어 현직 대통령 美 항모 승선
北 위협 속 '워싱턴 선언' '한미일 협력' 메시지 강조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시어도어 루스벨트 항공모함을 방문해 비행갑판을 시찰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시어도어 루스벨트 항공모함을 방문해 비행갑판을 시찰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한미일 첫 다영역 군사훈련을 앞두고 부산에 정박한 미국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함에 승선했다. 현직 대통령이 미국 항모에 올라탄 것은 30년 만이다. 최근 고조되는 북한의 위협에 한미동맹 및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로 대응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루스벨트함을 방문했다. 루스벨트함 등 제9항모강습단은 조기경보기와 핵추진잠수함 및 이지스함을 이용해 수백㎞ 권역까지 감시할 수 있다. 항공기는 90여 대가 탑재된다. 주력 전투기로 영화 '탑건 매버릭'에 등장한 F/A-18(슈퍼호넷)이 있다.

비행갑판과 통제실 등을 시찰한 윤 대통령은 격납고로 이동해 한미 장병 300여 명을 격려했다. 김수경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번 루스벨트 항모 방한은 지난해 4월 '워싱턴 선언'의 이행 조치"라며 "강력한 확장억제를 포함한 미국의 철통같은 방위공약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면서 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공언하며 한반도와 역내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며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굳건하며,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우리 동맹은 그 어떠한 적도 물리쳐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루스벨트함이 올여름 예정된 한미일 '프리덤 에지'에 참석하는 점도 언급했다. 프리덤 에지는 한미 '프리덤 실드'와 미일 '킨 에지'에서 한 단어씩 명칭을 따 온 훈련으로, 지난해 8월 3국 정상회담에서 합의됐다. 한미일이 공중·수상·해상·사이버 등 여러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첫 정례 훈련이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3국의 협력은 한미동맹과 함께 또 하나의 강력한 억제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프리덤 에지에 참여하는 한미 장병들에겐 "건강하게 훈련을 잘 마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현직 대통령이 미국 항모에 승선한 것은 1974년 박정희 전 대통령,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최근 북한이 러시아와 '피침 시 군사적 지원' 조항을 포함한 새 조약을 체결하고 오물 풍선을 비롯한 도발을 이어가는 것과 관련해 미국 주요 전략자산을 공개 방문하면서 압박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7월엔 미국 오하이오급 전략핵잠수함(SSBN) '켄터키함'에 승함했는데, 당시 대통령실은 '외국 정상이 미국 핵잠수함을 방문한 첫 사례'라고 강조했다.

정준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